난 난 종류인데.. 정확한 이름은 모르겠습니다.. 고개숙인 겸손함은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위해 에너지를 아끼는 것일까.. 시랑신부 맞절 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하나보다 둘이라 더 보기좋네요..난종류 대부분은 난석이나 바크에 심으면 안전합니다.. 야생♡초목 2013.12.12
아부틸론 열대와 아열대에서 온 꽃으로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다.. 햇볕을 좋아 하고 추위에 강한 편이지만 노지월동은 불가능하다.. 햇볕을 충분히 쬐어 주는 것이 좋고, 여름에는 반그늘이 적당하다. 야생♡초목 2013.11.14
서양등골나물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 원산지로 귀화식물이다.. 전국 , 특히 중부지방에 많이 볼 수 있다.. 인왕산 산행중에 만난 서양등골은 특히 산 아래쪽의 땅을 뒤덮고 있었다.. 우리 토종은 사라져 가고.. 언제부터 서양등골이 차지했을까.. 한국에 자생하는 등골보다 키가 작은 편.. 야생♡초목 2013.11.11
주목나무 깊은 산의 숲 속에 자라지만, 요즘은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열매는 빨갛고 씨는 가운데 움푹 패인 다즙질의 부드러운 과육에 둘러싸여 있고.. 열매살은 단맛이 나난다.. 주목 추출물은 항암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독성도 만만찮으니 전문가와 상의하는 게 좋다.. 야생♡초목 2013.11.11
만데빌라 붉은 태양보다 더 정열인 꽃으로 알려진 만데빌라.. 화려하고 큰 꽃을 자랑하며 꽃말은 천사의 나팔소리 라고하네요.. 물은 화분의 흙이 완전히 마르면 한번에 흠뻑 주면되구요 조금 건조하게 관리하시는 것이 좋구요. 과습은 금물이랍니니다.. 햇빛이 잘 들어 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 야생♡초목 2013.11.09
물아카시아 꽃이랑 잎이 아카시아와 비슷하생겼도 다만 물을 좋아하는 수생식물로 분류 됩니다.. 물아카시아라고 부르지만 자귀목에 가가운 식물인것 같아요. 저녁이면 잎이 오무라지고 아침 되면 잎이 펴지는 걸로 보아.. 미모사와도 흡사하게 생겨서 그런지 서양에서 는 물미모사라 부르기도 한.. 야생♡초목 2013.11.08
홍자귀 해가지면 잎이 서로 사이좋게 합쳐져 꽃이 피기 때문에 부부금실의 상징나무이기도한 자귀나무.. 자귀나무는 중국에서는 합환수(合歡樹) 라고도 한답니다. 해가지면 잎이 합쳐지고 꽃이 피기(야화) 때문이지요. 귀신이 자는 모습 같아서 자귀‘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는 자귀.. 홍.. 야생♡초목 2013.11.04
분홍과 흰색 구절초 어릴 때 구절초(九日草)라기보다 선모초(仙母草)란 이름으로 더 많이 들었던 기억이 난다.. 아홉 번 꺽인다 하여 구절초, 또는 9월 9일에 꺽는다하여 구절초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바위구절초나 산구절초는 한방과 민간에서 약제로 쓰는데 꽃이 달린 전체를 부인병,위장병 치풍등에 사.. 야생♡초목 2013.10.12
천일홍 은 천일동안 꽃색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는다 해서 천일홍이라고 부르는 꽃.. 요즘이 적당한 결실기.. 드라이플라워로 해서 차로 마시면 생화를 담은 듯한 산뜻한 느낌을 준다 야생♡초목 2013.09.27
인동초(金銀花) 겨울을 견뎌낸다 라는 뜻으로 `겨우 살이넝쿨`로도 불리며 `인동(忍冬) 넝쿨`이라고 한다 귀신을 다스리는 효험이 있는 약용 식물이라고 하여 `통령초`라고도 한다..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인동초는 금 은 화라고 하여 하얀 꽃이 피었다가 차츰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들이 대부분인데 붉.. 야생♡초목 201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