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 밤을 밝히는 벌노랑이 꽃.. 벌노랑꽃.. 안양천에서 운동을 하다보면 그 까만 밤에도 샛노랗게 피어 사람을 반긴다.. 이 녀석 나처럼 불면증인가~^^ 아님 잠이 없는 야행성인가...달맞이 꽃과 함께 활짝 웃고 있다 벌노랑은 산기슭의 풀밭, 바닷가의 모래땅 등 양지바른 곳이나 그늘진 곳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고 줄기.. 야생♡초목 2012.07.27
하얀 잎사귀가 십자모양인 산딸나무 하얀 잎사귀가 십자모양이라 예수님이 못박힌 나무라 잘못 알려져서 한때 교회에 많이 심어졌던 산딸나무.. 가을에 딸기를 닮은 열매가 열리는데 산에 피는 딸기라 해서 산딸나무라 불기 게 되었다고 한다.. 꽃은 외상출혈에 지혈을 하고 골절상에 약으로 쓴다. 잎은 칼슘성분이 많이 들.. 야생♡초목 2012.07.26
명아주와 창려장[靑藜杖]이야기 명아주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생즙은 일사병과 독충에 물렸을 때 쓰인다. 어린잎에 붉은 부분이 없는 것이 흰명아주(C. album)라고 한다. 정유와 지질이 함유되어 있고 해열. 살충, 이뇨 작용, 이질로 인한 복통, 설사를 일으킬 때 40∼8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많이 먹으면 피부병을 일으키.. 야생♡초목 2012.07.19
여름날 황금 옷으로 갈아입은 돌나물.. 여름날 황금 옷으로 갈아입은 돌나물..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며 열매는 7~8월경에 달리고 흑갈색 씨방에 작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봄에서 여름에 걸쳐 어린잎과 줄기를 나물로 많이 무쳐먹는데 특히 비타민C가 많으며 최근에는 비닐하우스에서 다량 재배하여 도.. 야생♡초목 2012.07.16
맑은대쑥 맑은대쑥 4월부터 쑥에 정신 팔려 살다보니 어느새 봄날은 다 지나가고.. 무더운 여름에 강화도에 있는 산에서 만난 맑은대쑥, 산지의 반 그늘진 곳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다른 쑥들과 달리 뿌리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 여러 종의 다른 쑥들은 벌레가 거미줄을 치.. 야생♡초목 2012.07.12
하트복주머니 속에서 꽃이 쏟아지는 금낭화 하트주머니를 살짝 열어젖히며 꽃을 쏟아내는 듯한 느낌을 주는 금낭화가 너무 귀엽습니다.. 금낭화는 산지의 돌무덤이나 계곡에 자라지만 요즘엔 관상용으로도 많이 심는답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기도 하지만 독성물질을 가지고 있어 날것으로 먹어서는 안 됩니다. 반듯이 뜨거운 물.. 야생♡초목 2012.07.04
컴프리의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하여.. 1990년경에 건강체로 알려진 컴프리를 처음 접하게 되었는데요. 컴프리는 프랑스어로 `병을 모른다` 라는 뜻이 랍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답니다. 최근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컴프리에 포함된 성분이 동물실험 결과 간을 손상시키거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야생♡초목 2012.06.28
아침이슬 먹음은 블루베리.. 블루베리가 우리 몸에 좋은 건 다 아시죠? 눈의 피로와 시력보호에 좋구요 안토시아닌 성분은 망막쇠퇴 병을 억제해 준답니다. 바나나 보다 2.5배 이상 식이섬유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소장에서 당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시켜주어 장내에 생기는 유해물질을 차단시켜주고 대장암을 .. 야생♡초목 2012.06.21
뽀리뱅이 뽀리뱅이의 꽃은 오후 시경부터는 오므라지므로 카메라에 담으려면 다음날 아침까지 기다려야 활짝 핀 꽃을 볼 수 있다. 뽀리뱅이 또는 보리뱅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옛날 보릿고개를 넘기 어렵던 시절에 나물이나 묵나물로 먹으면서 붙여졌다고 한다. 그밖에도 황가채, 박조가리 나.. 야생♡초목 2012.06.18
조뱅이 조방거색(曹方居塞) 이라 부르기도 하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한방에서는 지상 부를 약으로 쓰는데 소계(小薊)라고 한다. 약효는 지혈작용이 있어서 대변출혈, 소변출혈, 자궁출, 코피 급성전염성 간염에 좋고 진통, 진정작용도 한다. 쇠붙이에 다치거나 외상에는 짓찧어 붙이.. 야생♡초목 2012.06.14